◆ 혼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혼밥으로 새해를 시작하신 분들의 SNS글이 쇄도
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7년 자료에 따르면 우리
나라 국민의 '하루 세끼 혼밥률'은 국민 10명 중
1명 정도가 혼밥을 먹고 있었는데요. 물론, 2020
년인 현재는 훨씬 급증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등 추세 속에 '어쩔
수 없는 혼밥'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어렵지만, 이
런 혼밥이 자칫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
하다는 점입니다.
1. 혼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하루 세끼를 혼밥하는 성인은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하는 성인보다 정신적.신체적 건강 측면에서
모두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혼밥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은 뚜렷했는데요.
우울증 위험이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사람보다 최
대 30%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됐고 혼자밥을 먹는
사람이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사람보다 비만할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혼자서 식사할 때 주로 먹는 인스턴트 부류의 음
식이 가족과 함께 직접 만들어 먹는 음식보다 영
양성분이 부족한 데다, 편식과 과식을 유발함으로
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또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가족 또는 주변 사람들과
유대 관계가 점차 단절되면서 고독감, 불안감, 우
울감 등을 부추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가족과의 식사가 가끔 필요한 이유
가족과의 식사는 단순히 음식을 함께 하는 것을
넘어 정보, 마음, 인생을 공유하는 의미를 갖고 있
었는데요. 가급적이면 혼자 밥을 먹기보다는 좋은
사람과 건강한 음식을 함께 하려고 노력하는 게
필요합니다.
만약 혼자 식사를 하게 되더라도 가끔은 식사 전
에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 친구에게 전화해 안
부 인사를 나누는 것도 혼밥에 따른 불안과 우울
을 떨쳐내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해요^^